티스토리 뷰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면 흉통을 호소하며 응급실로 오는 환자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오늘은 흉통에 대해 알아보겠다.
<감별질환>
흉통은 생각보다 흔한 증상이다.
폐렴, 협심증, 심근경색처럼 중증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지만,
심리적 혹은 근골격계의 문제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흉통의 원인이 심인성인지 아닌지 감별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증상>
흉통과 연관성이 높은 증상으로는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오목가슴 부위의 통증,
숨이 가쁘거나, 구역질, 땀 혹은 팔이나 등 쪽으로 뻗치는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아스피린의 투여에 대해>
대규모 연구에 의하면, 심근경색 환자에게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것은 사망률을 대폭 낮추었음을 밝혀냈다.
그러므로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아스피린의 사용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또한, 심근경색의 경우엔 아스피린의 투여 시간이 빠르면 빠를수록 그렇지 않은 군보다 사망률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흉통의 원인이 심장에 문제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면 아스피린의 효과는 크게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천하는 아스피린의 복용법은
아스피린 325mg 1정 혹은 ‘Baby 아스피린’ 81mg짜리 2~4정을 씹어서 삼키면 된다.
아스피린의 단점으로는 '내'출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만약, 현장에서 환자의 흉통이 심장 문제에 의한 것이 아니거나 확실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면 굳이 구조자가 아스피린의 투여에 대해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의사의 지시 혹은 진찰에 따라 아스피린 투여 결정을 내려도 된다.
<이송>
흉통 혹은 심장마비 증상을 누군가 보인다면 가족 혹은 동료들이 병원으로 이송해서는 안 된다.
가족이 환자를 이송하는 경우 자동차 안에서의 심정지 상황에 대해 누구도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드시 119를 신고하여 119에 의한 병원 이송이 필요하다.
119가 도착한 후에는 심전도를 확인하여 심근 경색 혹은 부정맥을 진단하고,
필요에 의해 전기 충격같은 부정맥 치료를 할 수 있다.
<병원에서?>
병원에 도착하게 되면, 아스피린의 복용력 확인 및 위장관, 뇌출혈등의 기왕력을 확인한다.
그리고 동시에 심전도를 확인하여 심근경색의 위치를 가늠하고,
심혈관 조영술 혹은 혈전용해제를 사용하여 막혀있는 심장혈관을 뚫는 치료를 계획한다.
만약 시술 혹은 약물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개흉술을 통해 심장을 수술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은 2015 AHA 가이드라인을 요약, 정리했으며, 필자의 생각도 추가했습니다.
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응급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 상황시 환자 분류에 관하여-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1) | 2016.11.30 |
---|---|
눈에 화학물질이 튀었어요! 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0) | 2016.11.26 |
응급실 진료의 처음과 끝 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0) | 2016.11.26 |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어요. 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0) | 2016.11.26 |
응급실 근무를 힘들게 하는 것들-문의전화, by 응급의학과 전문의 랑군파파 (0) | 2016.11.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심폐소생술
- 전문의
- 소아복부외상
- 이물삼킴
- 소아진정
- 똑소리키즈
- 2019-nCov
- 외상
- 신종 코로나
- 심근경색
- 안면열상
- 응급실
- 우한폐렴
- 신종코로나
- 사망
- dizziness
- 저혈압
- 권역응급의료센터
- 코로나바이러스
- 외상 응급실
- 이물질
- 응급의학과
- 건전지삼킴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닥터프렌즈
- 진료
- 3차감염
- 소독
- 소아외상
- 봉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